Centos713 [Centos 7] (리눅스) 파일 압축/압축해제 (gzip, bzip2, xz) 오랜만입니다 연말이라 자꾸 늘어지네요 다시 블로그를 성실히 써야겠다고 다짐을 해봅니다 오늘은 파일을 압축하는 것에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. 1-1. gzip 명령어를 통한 압축/압축해제 1-2. 한번에 여러 파일 압축/압축해제 # gzip [파일명] 압축 # gunzip [파일명.gz] 압축 해제 # gzip [파일명1] [파일명2] 동시에 두가지 파일을 각각 압축할수 있음 2. bzip2 명령어를 통한 압축/압축해제 # bzip2 [파일명] 압축 # bzip2 -d [파일명].bz2 압축해제 3. xz 명령어를 통한 압축/압축해제 # xz [파일명] 압축 # unxz [파일명].xz 압축해제 cf. 디렉토리는 압축할수없습니다 2021. 12. 28. [CentOS 7] (리눅스) 데이터 백업하기(풀백업, 증분백업) 여러가지 시험이 겹쳐서 이제야 돌아왔네요 오랜만입니다! 오늘은 데이터 백업을 해봅시다. 1. 디렉터리 생성 2. 파일 생성 3. 풀백업 생성 4. 증분백업 생성 5. 백업 내용 확인 # cd /home/backup # tar -cvpf ./backup/full-backup.tar --listed-incremental ./backup/backlist data : 풀백업 tar -옵션/경로/파일명... tar [옵션] tar -f :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(기본 옵션) tar -c : tar 아카이브 생성.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(파일 묶을 때 사용) tar -x :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. (파일 풀 때 사용) tar -v : 처리되는 과정(파일 정보)을 자세하게 나열 tar -z : gzip.. 2021. 12. 21. [CentOS 7] (리눅스) 자동마운트, fstab설정 어제 디스크추가하고 수동마운트를 해봤는데, 자동마운트 하는 법도 알아두면 좋을것 같아 추가합니다 마운트 명령어와 확인하는 명령어를 간단히 다시 보여드렸습니다 이제 자동마운트를 해봅시다! # vi /etc/fstab 이쪽으로 이동해 편집하면 됩니다. 가장 아랫줄에 /dev /sdb1 /hdd1 ext4 defaults 0 0 [파일시스템의 장치명] [마운트포인트] [파일시스템종류] [옵션] [dump 관련설정] [파일점검옵션] 1. 파일시스템의 장치명 : 장치명 설정 2. 마운트포인트 :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위치 설정 3. 파일시스템 종류 : 마운트될 파일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시스템 종류를 지정해주는 항목 ext3 : 저널링파일시스템으로서 ext2이 비해 파일시스템 복구기능과 보안부분을 크게 향상시.. 2021. 11. 25. [CentOS 7] (리눅스) 디스크추가, 파티션분할, 파일시스템 설정, 마운트, 언마운트 오늘은 디스크추가를 해봅시다 꽤 긴과정이니 잘 따라오시길바랍니다 n : 신규 파티션 추가 p : primary -주 영역 파티션 설정 (확장파타션을 원할때는 extended) 파티션 숫자(1-4), 용량은 기본값으로 설정할것이므로 enter치면 된다 t : 파티션 종류 변경 m : 도움말(메뉴확인) p : 파티션 설정 확인 a : 부팅 파티션 지정 d : 파티션 삭제(뒷번호부터 순차적삭제) w : 설정사항 저장(write) q : 작업 종류 # fdisk -l 디스크 추가 확인 # fdisk /dev/sdb 디스크 설정 # mkfs -t ext4 /dev/sdb1 파일시스템생성(ext4형식) # cd / 경로 이동 # mount -t ext4 /dev/sdb1 /mnt 마운트; 저장공간을 인식시키는 과정.. 2021. 11. 23. 이전 1 2 3 4 다음